1. AWS 란?
AWS 공식 홈페이지 : https://aws.amazon.com/ko/what-is-aws/?nc1=f_cc
2. AWS 사용 방법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나 개발업체는 비즈니스나 업무에 필요한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렇게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움직이는 인프라스트럭처를 AWS 서비스로 준비하고, 해당 인프라스트럭처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
3. 클라우드(Cloud)
클라우드(Cloud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터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말함.
4. 컴퓨터 리소스 확보 방법 비교
항목 | 온프레미스(on-premise) | 임대(rental) | 클라우드(cloud) |
초기 투자 | 매우 높음 | 높음 | 낮음 |
조달 기간 | 수 주 ~ 수 개월 | 수 시간 ~ 수 일 | 수 분 |
운용 비용 | 매우 높음 | 낮음 | 낮음 |
운용 후 증감 | 어려움 | 약간 어려움 | 간단함 |
독립성 | 높음 | 약간 낮음 | 약간 낮음 |
5.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
5.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는 인프라스트럭처 부분, 서버나 네트워크를 임대 형식과 마찬가지로 서비스로 제공한다. 구축된 서버에 OS(리눅스, 윈도우 등)나 미들웨어(Ruby on Rails, MySQL 등)를 설치하거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등의 작업은 클라우드 이용자가 직접 수행해야 한다.
5.2. PaaS(Platform as a Service)
PaaS는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플랫폼(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자체를 서비스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이용자는 해당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만 작성해서 배포한다. 플랫폼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하므로, 서버에 배치를 할당하거나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하는 등 인프라스트럭처 운영 범주에 포함되는 작업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담당한다.
5.3.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제공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한다. 클라우드 이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만 지불한다. 메일이나 SNS와 같은 개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제공업체도 있다. 클라우드 이용자는 인프라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운용과 개선 작업을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맡길 수 있다.
5.4.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형태
AWS가 처음 출시한 서비스는 IaaS 유형에 해당하는 시간제 서버 임대였다. 이후에는 클라우드 이용자가 서버를 의삭하지 않아도 되는 서버리스(serverless) 시스템의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최근에는 주로 AI나 머신러닝 분야에서 프로그래밍할 필요 없이 제공되는 기능을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출시했다.
6. 주로 사용하는 AWS 서비스 목록
카테고리 | 서비스명 | 설명 |
컴퓨팅 | EC2 | 리눅스나 윈도우 등을 작동하는 서버 |
스토리지 | S3 | 대량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하는 저장소 |
데이터베이스 | ElastiCache | 레디스나 멤케시드 등 캐시 서비스를 작동하는 서버 |
RDS | MySQL이나 Oracle 등 데이터 베이스를 작동하는 서버 | |
관리 및 거버넌스 | CloudWatch | AWS로 구축한 서비스의 모니터링 수행 |
보안,자격 증명 및 규정 준수 |
Identity and Acess Management (IAM) |
AWS의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및 권한을 설정 |
Certificate Manager | SSL 서버 증명서 관리 | |
네트워킹 및 컨텐츠 전송 |
Elastic Load Balancing | 대량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받는 시스템 |
Route 53 | 인터넷에서의 도메인명 해결을 수행하는 시스템 | |
VPC |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 |
고객 참여 (customer engagement) |
Simple Email Service | 이메일 송수신 |
청구 및 비용 관리 | Billing and Cost Management |
월별 운용 비용 관리 |
Pricing Calculator | AWS 이용 예상 견적 계 |
7. 리전(Region)
참고 :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s_az/
AWS에는 리전이라는 개념이 있다. AWS가 전 세계에서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를 리전이라고 한다. 논리적 데이터 센터의 각 그룹을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이라고 한다. 각 AWS 리전은 지리적 영역 내에서 격리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최소 3개의 AZ로 구성된다. 각 AZ는 독립된 전원, 냉각 및 물리적 보안을 갖추고 있으며 지연 시간이 매우 짧은 중복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러 AZ에서 실행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내결함성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8.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출처 : https://hudi.blog/region-and-availability-zone/
AWS의 리전은 가용 영역 (Availability Zone) 이라는 더 작은 단위로 격리된다. AWS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가용 영역은 최소 1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 (Internet Data Center) 로 구성된다. 개별 데이터 센터에는 일반적으로 50,000 ~ 80,000 대의 물리적 서버가 있다고 한다. 현재 한국에는 총 4개의 가용영역이 존재한다.
각각의 가용 영역은 같은 리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있다. 천재지변, 테러 등의 불가항력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함이다.
AWS 글로벌 인프라 맵에서 현재 존재하는 리전과 각 리전별 가용영역을 확인해볼 수 있다.
9. 로컬 영역(Local Zones)
참고 :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localzones/features/
AWS Local Zones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근접한 지역에서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엄선된 서비스를 많은 인구, 산업 및 IT 센터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10밀리초 미만의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AWS 인프라 배포 유형이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6. ELB(Elastic Load Balancing) (0) | 2023.12.02 |
---|---|
AWS- 5. 웹 서버(Web Server) (0) | 2023.12.01 |
AWS - 4. 점프 서버(Jump Server) (0) | 2023.11.30 |
AWS - 3. Network (1) | 2023.11.29 |
AWS - 2.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0)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