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1 09:40:52
728x90
728x90

# top

1. 시스템 시간 및 업타임, 로그인한 사용자 수

2. 좌측부터 마지막 1분간,5분간,15분간의 평균 부하

3. 좌측부터 총 작업수, 실행 중인 작업, 대기 중인 작업, 정지된 작업, 좀비 작업의 수

4. CPU 상태
us(user) : 사용자 모드에서의 CPU 사용량
sy(system) : 커널 모드에서의 CPU 사용량
ni(nice) : 낮은 우선순위 작업의 CPU 사용량
id(idle) : 유휴 시간
wa(wait) : I/O 대기 시간
hi(hardware interrupts) : 하드웨어 인터럽트 처리 시간
si(software interrupts)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처리 시간
st(steal time) : 가상화 환경에서 다른 가상 머신에 의해 사용된 시간

5. 메모리 상태
Kib Mem
total : 총 메모리
free : 사용 가능한 메모리
used : 사용 중인 메모리
buff/cache : 버퍼/캐시로 사용되는 메모리

Kib Swap
total : 총 스왑 메모리
free : 사용 가능한 스왑 메모리
used : 사용 중인 스왑 메모리
avail Mem : 사용 가능한 실제 메모리

6. 프로세스 정보 (Task Area)
PID : 프로세스 ID
USER : 프로세스를 실행한 사용자 이름
PR : 프로세스 우선순위
NI :  nice 값(우선순위 조정 값)
VIRT :  가상 메모리 사용량
RES : 실제 메모리 사용량
SHR : 공유 메모리 사용량
S : 프로세스 상태(R:실행중, S:대기중, D:디스크 대기, Z: 좀비, T: 정지
%CPU : CPU 사용 비율
%MEM : 메모리 사용 비율
TIME+ : 프로세스가 시작된 이후 경과된 CPU 시간(분:초)
COMMAND : 실행된 명령어 또는 프로세스 이름

 

# df –h : 파티션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
Filesystem : 파일 시스템의 이름, 주로 장치 파일 또는 마운트 포인트
Size : 파일 시스템의 총 크기
Used : 사용된 디스크 공간
Avail :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
Use% : 사용된 디스크 공간의 백분율
Mounted on :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지점

# free –m : 물리적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의 사용 상태 확인
total : 총 메모리 용량
used : 사용 중인 메모리 용량
free :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
shared : 여러 프로세스에서 공유되고 있는 메모리 양
buff/cache : 커널에서 버퍼와 캐시로 사용 중인 메모리 용량
available :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

 

# fdisk -l :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와 파티션 정보를 확인

1. 디스크의 이름, 디스크의 총 용량, 디스크의 총 바이트 수, 총 섹터 수
2. 섹터의 크기 단위
3. 논리적 섹터 크기와 물리적 섹터 크기
4. 최소 및 최적 I/O 크기
5. 디스크 파티션 테이블 형식
6. 디스크의 고유 식별자
7. 파티션 정보
Device : 파티션 장치 이름
Boot : 부팅 가능 여부
Start : 파티션 시작 섹터
End : 파티션 끝 섹터
Block : 파티션의 총 블록 수, 각 블록은 일반적으로 512바이트 또는 1킬로바이트
Id : 파티션의 고유 식별자
System : 파티션 유형

 

# egrep –i “warning|fail|fault|critical|error” /var/log/messages

로그 메시지를 확인하려면 /var/log/messages
grep은 한 문장을 검색하는 거라면 egrep은 단어 여러개를 검색
-i 옵션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하는 옵션

테스트 환경이라 오류 구문은 신경X

 

# dmesg –T | egrep –i “warning|fail|fault|critical|error”

dmesg 명령어는 리눅스 및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커널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
부팅된 후에 발생한 시스템 이벤트 및 오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 옵션은 시간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mesg는 시간 정보를 부팅 이후 경과한 시간으로 표시하는데
–T 옵션을 사용하면 이를 현재 시간과 날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상태 확인

1. ens3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
flags=4163 : 인터페이스의 상태와 기능을 나타내는 플래그
UP :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의미
BROADCAST : 브로드캐스트를 지우너함을 의미
RUNNING : 인터페이스가 동작 중임을 의미
MULTICAST : 멀티캐스트를 지원함을 의미
mtu 1500 :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단위(MTU)를 나타냄.

2. 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보르드 캐스트 주소

3. IPv6 주소 , 서브넷 접두사 길이, 주소 범위, 링크-로컬 주소

4. 하드웨어 정보
ether 00:0c:29:02:43:36 : 인터페이스의 MAC주소
txqueelen 1000 (Ethernet) : 송신 대기열의 길이와 네트워크 유형

5. 통계 정보
RX packets 652 : 수신된 패킷 수
bytes 50797 ( 49.6 Kib) : 수신된 바이트 수
RX errors : 수신 오류 수               dropped : 드롭된 패킷수
overruns : 수신 오버런 수            frame : 프레임 오류 수
TX pacckets 615 : 전송된 패킷수
bytes 413658 (403.9 Kib) : 전송된 바이트 수
TX errors : 전송 오류 수               dropped : 드롭된 패킷 수
overruns : 전송 오버런 수            carrier : 캐리어 오류 수
collisions : 충돌 수

6. lo (Loopback) 인터페이스 : 시스템 자체를 가리킴 로컬 호스트에서의 네트워크 테스트에 사용됨.

# netstat –a : 네트워크 연결 및 라우팅 테이블, -a 옵션은 모든 연결과
리스닝(대기) 상태의 소켓을 표시

1.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 현재 시스템에서 활성화된
인터넷 연결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 연결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Proto : 프로토콜 유형 (tcp 또는 udp)
Recv-Q : 수신 큐에 대기 중인 데이터의 크기
Send-Q : 송신 큐에 대기 중인 데이터의 크기
Local Address : 로컬 주소 및 포트
Foreign Address : 외부 주소 및 포트 (외부와의 연결이 없는 경우 0.0.0.0)
State: 연결 상태 ( LISTEN, ESTABLISHED 등)

2. Active UNIX domain sockets (servers and established) : 현재 활성화된 UNIX 도메인 소켓에 대한
정보, UNIX 운영 체제에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 중 하나

Proto : 소켓 유형 (unix)
RefCnt : 소켓을 참조하는 프로세스 수
Flasgs : 소켓 플래그 ([] : 아무런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음 [ACC] : 접근 가능한 소켓
Type : 소켓 유형 (DGRAM : 데이터그램, STREAM : 스트림)
State : 소켓 상태 (LISTENiNG : 소켓이 들어오는 연결을 수신 대기 중, 
ESTABLISHED : 소켓이 연결되어 있음, DGRAM : 데이터그램, STREAM : 스트림)
I-Node : 소켓애 대한 I-Node 번호 (파일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보)
Path : 소켓 파일 경로

 

# dmidecode –t system : 시스템의 SMBIOS(MDI) 정보 확인

Handle 0x0001 : 이 정보 블록의 고유 식별자
DMI type 1, 27Bytes : DMI(Desktop Management Interface) 타입 1의 데이터이며, 길이는 27 바이트
Manufacturer : 시스템 제조사
Product Name : 시스템의 제품 이름
Version : 시스템의 버전 정보
Serial Number : 시스템의 시리얼 넘버
UUID : 시스템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Wake-up Type : 시스템을 깨우는 데 사용되는 장치 유형
SKU Number : 재고 관리 단위(SKU) 번호
Family : 시스템이 속한 제품군

Area Length : 로그 영역의 길이               Header Start Offset : 헤더의 시작 오프셋
Header Length : 헤더의 길이                   Data Start Offset : 데이터의 시작 오프셋
Access Method : 로그에 접근하는 방법  Access Address :  접근 주소
Status : 로그의 상태, 사진 같은 경우 로그가 가득 찼고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
Change Token : 변경 토큰, 로그가 변경될 때마다 갱신되는 값
Header Format : 헤더 형식
Supported Log Type Descriptors : 지원되는 로그 유형 설명자의 수
Descriptor 1: POST error : 첫 번째 로그 유형 설명자로 POST(전원 켜기 자체 테스트) 오류를 나타냄.
Data Format 1: POST results bitmap : 첫 번째 로그 데이터 형식으로, POST 결과 비트맵
Descriptor 2: Single-bit ECC memory error : 두 번째 로그 유형 설명자로, 단일 비트 ECC 메모리 오류를 나타냄
Data Format 2: Multiple-event : 두 번째 로그 데이터 형식으로, 다중 이벤트
Descriptor 3: Multi-bit ECC memory error : 세 번째 로그 유형 설명자로, 다중 비트 ECC 메모리 오류를 나타냄
Data Format 3: Multiple-event : 세 번째 로그 데이터 형식으로, 다중 이벤트

System Reset(시스템 리셋)
Status : 시스템 리셋 상태
Watchdog Timer : 시스템 리셋을 위한 워치독 타이머 존재 여부
Boot Option : 리셋 시 부팅 옵션
Boot Option On Limit : 리셋 제한 시 부팅 옵션
Reset Count : 리셋된 횟수
Reset Limit : 리셋 제한 횟수
Timer Interval : 타이머 간격
Timeout : 타임아웃 시간을 나타냄.

System Boot Information(시스템 부팅 정보)
Status : 시스템 부팅 정보 상태

 

 

# cat /etc/redhat-release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는 보통 /etc/redhat-release로 확인

이 외에 os 버전 확인으로는
# cat /etc/os-release : 대부분의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 확인

# lsb_release -a : 배포판의 리눅스 표준 베이스 정보 출력, lsb-release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함.

# hostnamectl : 시스템의 호스트이름 및 OS 관련정보 출력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cCLI  (0) 2024.05.24
MegaRAID  (0) 2024.05.24
Linux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  (0) 2024.04.30
Linux 파일 시스템의 계층 구조  (0) 2024.04.25
CentOS7,8 SoftWare Selection  (0) 2024.04.24